국토교통부, KTX 2배 길이 열차로 지속가능한 철도물류 만든다

국내교통

국토교통부, KTX 2배 길이 열차로 지속가능한 철도물류 만든다

알 수 없는 사용자 2022. 7. 19. 01:30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공사는 KTX의 약 2배 길이(777m)인 50량 규모의 장대화물열차를 경부선 오봉역~부산신항역(402.3km) 구간에서 시험운행 한다고 밝혔습니다.

 

(KTX)

 

(열번미상 화물열차, 출처=천안급행)

 

* (일시/구간) ‘2022년 7월 19일 화요일, 04시 30분~ / 오봉역(출발)~김천역~동대구역(정차)~부산신항역(도착)

 

최근 고유가 등 국내·외 여건변화에 따른 도로 운송비용 증가와 함께, 이례상황 시 대체수단으로써 철도의 중요성은 점차 부각되고 있지만, 철도의 구조적 특성*과 그로 인한 추가비용은 철도물류 육성에 장애가 된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 출발지~도착지 간 단일수단으로 운송(문전수송) 불가 → 셔틀, 상·하역 발생

 

이에, 국토교통부는 「전환교통 지원사업*」 등을 통해 물류업계가 부담하는 추가비용을 경감하고 있으나, 철도공사의 운송수익 대비 높은 비용**은 철도물류 지속가능성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었습니다.

 

* 철도운송에 따른 화주 등의 추가적인 비용부담을 보조하는 사업(‘10~)

** (영업계수) = (영업비용)/(영업수입) = 160(‘21년) → 만성적인 적자구조

 

한국철도공사는 지난 2017년 길이 1.2km의 80량 장대열차를 부산신항역~진례역(21.3km) 구간에서 시험 운행한 바 있으나, 1km가 넘는 길이의 열차를 운영할 시설이 갖춰지지 않아 상용화에는 나아가지 못했습니다.

 

국토교통부, 한국철도공사는 과거 사례를 바탕으로, 상용화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현재보다 높은 수송력*을 지니면서, 우리나라 철도여건에 부합하는 50량 장대열차를 실제 영업과 가장 유사한 조건에서 시험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 (현재) 33량 66TEU(약 800톤) 수송 → (장대열차) 50량 100TEU(약 1,200톤) 수송

 

이번 시험에 앞서서는 부산신항~진례(21.3km), 부산신항~가천(98.1km)을 운행하며, 운행안전성을 사전점검하는 등 안전을 위해 최우선에 두고 준비했다고 합니다.

 

국토교통부는 시험운행 이후, 경부선에서 장대화물열차 대피선로 확충*을 검토하는 등 상용화를 뒷받침하는 지원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여객열차, 화물열차가 동시 운행 시 여객열차를 먼저 보내기 위한 우회선로 필요

 

그 밖에, 국토교통부는 도로대비 철도의 실질적인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예산당국과 협의를 거쳐 도로-철도 운임차액의 전부를 보조하며, 수도권↔부산권 간선물류를 철도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피기백*, 리퍼컨테이너** 등 R&D를 통한 취급품목 다양화도 추진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 컨테이너 상·하역 없이, 컨테이너+트럭을 통째로 열차에 실어 수송하는 기술

** 신선식품 등 냉장을 요하는 물품을 수송하기 위해 냉각장치가 결합된 컨테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