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외버스인가 광역버스인가, 3000번과 3030번

국내교통

시외버스인가 광역버스인가, 3000번과 3030번

Mr.ahn 2022. 9. 15. 15:21

여러분 안녕하세요 ㅎㅎ 무려 2달만에 돌아온 Mr.ahn입니다! 써야지 써야지 하면서 미룬게 이렇게 2달이나 지나버렸네요 ㅠㅠ 심심한 사과의 말씀 드리겠습니다... 그럼 미룬만큼 이번에도 힘차게 시작해보겠습니다!!

 

본 사진은 Racer2123님의 사진이라는 것을 밝힙니다.

우리의 3000번과 3030번, 첫 시작은 지금의 대원고속이 아닌 신성운수, 지금의 서울여객에서 운행하던 시외버스였습니다. 그러나 신성운수의 경영난으로 인해 본 노선을 포함한 여러 버스 노선들을 매각하기 시작했는데, 이 3000번도 매각 대상 중 하나였습니다. 그렇게 2015년 7월 14일에 문산에서 부천을 오가는 5000번과 함께 대원고속으로 이관되었다고 하네요!

 

그렇게 잘 운행되던 3000번에도 문제점이 하나 있었으니... 바로 특정구간에서의 이용 승객 포화 문제였죠. 본래 3000번은 인천터미널을 출발하여 부평과 계산동을 거쳐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경유하여 고양시 백석동과 호수공원, 킨텍스를 거쳐 탄현동과 파주시 운정신도시를 거쳐 금촌에 도착하는 노선입니다. 하지만 이용 승객의 대부분은 부평에서 킨텍스 구간에서만 나오는 상황이었는데요. 그런 모습을 노선 운행사인 대원고속에서 그대로 둘 수만은 없었나 봅니다.2016년 1월 15일에 운행 계통이 '인천터미널~금촌', '인천터미널~킨텍스제1전시장', '부평역~킨텍스제1전시장'으로 나눠지고 말았습니다.

 

그렇게 운행 계통이 나뉘고 잘 운행된다 싶었을때 3000번에는 또 다시 변화가 찾아옵니다! 계통이 나눠지고 3년 뒤, '부평역~킨텍스제1전시장' 계통이 사라지고 '인천터미널~금촌' 계통이 3000번으로 '인천터미널~킨텍스제1전시장' 계통이 3030번으로 번호가 따로 지정되어 운행하게 된 것이죠! 운행 횟수에 큰 변화가 있진 않았지만 그동안 부평에서 편하게 앉아가는 승객들이 불편을 겪는 일이 일어나고 말았습니다 ㅠ 그렇게 3000번과 3030번으로 분리된 후 현재까지 잘 운행해오고 있습니다!

 

사진 제공해주신 '장현종'님 감사드립니다!

위에서 말했다시피 3000번과 3030번은 부평역~킨텍스 구간에서 수요가 가장 많이 나오는 노선입니다. 그러기에 3030번을 직행좌석버스로 전환하자는 이야기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는데요, 하지만 고양시와 인천광역시가 계속 적자 보전을 위한 지원을 꺼리고 있어 면허 전환은 당분간 힘들것으로 보입니다 ㅠ 애초에 경기도 지자체 중 경기도 공공버스에도 유일하게 참여하지 않는 지역이 고양시이기도 하고 인천광역시 또한 마찬가지로 여러 방면으로 예산을 써야하기에 면허 전환은 뜬 구름 잡기 같이 실현하기 힘든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ㅠ

 

더군다나 2020년 전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바이러스 때문에 많은 버스들이 운행 중지를 당하거나 감회되는 사태가 일어났는데요 ㅠ 이 노선도 그 마수를 피하긴 어려웠나 봅니다. 통합 15~20분 배차로 운영하던 버스가 통합 40~60분 배차로 거의 3배 정도 늘어난 상태로 운영중입니다.

 

또한 이 버스들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중 계양IC에서 일산IC를 경유합니다. 그러다보니 중간에 김포요금소를 거쳐 가는 노선으로 이루어져있는데, 김포요금소 상의 김포영업소 환승정류소에는 정차하지 않고 있습니다! 필자 개인적인 소망으로는 김포영업소에 정차하여 의정부로 가는 8906번과 연계하여 양주, 의정부로 가는 수요와 미약하게나마 김포시 수요도 챙겼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ㅎㅎ

 

물론 대체 경로가 존재하는데요! 부평구에서 계양구 사이(현대아파트~임학사거리)에서 탑승하시는 경우엔 바로 옆 부천시로 넘어가서 고양시 소속 버스 1001번을 탑승하시면 됩니다! 1001번 버스는 직행좌석버스라 수도권통합환승요금제가 적용되어 3000번과 3030번과는 다르게 환승할인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만약 인천터미널에서 버스를 놓쳤을 경우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버스를 놓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면, 바로 옆 인천터미널역으로 달려가 부평, 계양 방면 전철을 타시고 상황에 따라 부평역, 부평구청역, 갈산역, 경인교대입구역, 계산역 중 한 곳에 하차하셔서 놓친 버스를 탑승하시면 됩니다!

2. 또 다른 방법으로는 롯데백화점 바로 앞 롯데백화점(인천터미널) 정류장에서 1300번을 타고 부천시로 가서 1001번을 탑승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이 방법은 1300번이 금방 올 때만 이용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코로나19바이러스의 여파로 1300번의 배차 간격이 매우 많이 길어졌거든요 ㅠ

또한 석바위에서 버스를 놓쳤을 경우 역시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버스를 놓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면, 바로 옆 석바위시장역으로 달려가 인천시청, 운연 방면 전철을 타고 인천시청역에 하차하여 인천1호선으로 환승 후 부평, 계양 방면으로 내려가 열차에 승차하시면 됩니다. 역시 상황에 따라 부평역, 부평구청역, 갈산역, 경인교대입구역, 계산역에 하차하셔서 놓친 버스를 탑승하시면 됩니다!

2. 또 다른 방법으로는 에이스빌딩 앞 석바위 정류장에서 1601번을 탑승하셔서 상동역에 하차한 후 반대편 8번출구에 있는 정류장으로 넘어가셔서 똑같이 1001번을 이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1601번 역시 코로나19바이러스로 인해 배차 간격이 매우 길다는 것을 감안하시고 이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사진 제공해주신 '장현종'님 감사드립니다!

인천과 고양, 그리고 파주까지, 직행좌석버스로 전환해달라는 요구가 많지만 아직은 요원해보이는 그 버스. 과연 3000번과 3030번의 앞날은 어떻게 될까요? 하루빨리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었으면 좋겠다고 소망해보면서 이번 글도 마치겠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럼 바이 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