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그러니까 1900년대만 하더라도 주로 화물 수송은 철도가 대부분 담당합니다. 물론 지금도 시멘트 등등 중공업에 관련된 열차들은 철도가 대부분 담당하지만, 일반 우편 수송이라던지 자동차 수송 같은 것들은 대부분 도로교통에 많이 의존하고 있죠. 오늘 알아볼 노선 역시 화물영업의 쇠퇴와 함께 위기를 맞았던 노선들입니다. 바로 카시선과 카츠타선인데요, 이 두 노선의 다른 점이라고 한다면 카시선은 꾸준한 개량과 함께 후쿠오카 근교 통근 노선으로 다시 탈바꿈하는 데 성공했지만, 카츠타선은 연선 지자체와 철도회사의 지속된 방치로 인해 결국 폐선된 노선입니다. 두 노선의 구간도 비슷한 만큼, 이번에는 두 노선을 한꺼번에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카시선은 후쿠오카에 있던 사철인 하카타만 철도에 의해 개통되었습니다. 1904년에 사이토자키 ~ 스에 구간을 먼저 개통하고, 1905년에는 스에 ~ 우미 구간을 마저 개통새켰습니다. 1915년에는 도중 역인 사카도역에서 타비이시역까지 이어지는 카시선 타비이시 화물지선도 개통되었습니다. 이후 하카타만 철도는 니시테츠에 의해 합병되면서 1942년 니시테츠 사야선과 타비이시선으로 개칭되었는데, 2년만에 다시 국철화되어서 카시선이라는 지금의 이름으로 바뀐 것입니다. 한때는 해군 전용 석탄을 운송하면서 많은 돈을 벌었지만, 점차 석탄이 사양화되면서 1960년에는 타비이시 화물지선의 타비이시~스에 구간이 폐선되었으며, 1984년에는 카시선 전 구간 화물영업 폐지, 1985년에는 타비이시 화물지선이 완전 폐지되었습니다. 다만 JR 큐슈 이관 이후 배차간격을 일 16회 수준에서 20분에 1대라는 어마어마한 증편을 시행함으로써 이 노선은 전성기를 맞이하였고, 2019년에는 신형 차량 BEC819계 동차도 운행을 시작하였습니다.
카츠타선 역시 비슷한 루트를 겪었습니다. 1918년에 치쿠젠 참궁 철도가 우미 ~ 치쿠젠카츠타 구간을 처음 개통시켰으며, 다음 해에 요시즈카 ~ 우미 구간을 개통시켰습니다. 이 노선도 치쿠젠 참궁 철도가 하카타만 철도와 동시에 니시테츠로 합병되면서 1942년에 니시테츠 우미선으로 개칭되었으며, 1944년에 국철화된 것까지 똑같습니다. 이때 카츠타선으로 이름을 바꾼 것도 같고요. 이후 1981년에는 특정지방교통선으로 편입되었으며, 1985년에는 최종 폐선되었습니다. 카시선과는 다르게 단 하나의 증편도 있지 않았다는 게 특징입니다. 카시선보다 더욱 근교 지방을 잘 지나갔음에도 말이죠.
위에 있는 노선도를 잘 보면, 오히려 노선 선형은 카시선보다 카츠타선의 선형이 더욱 좋아보입니다. 이를 보았을 때, 노선에 대한 투자만 잘 이루어졌으면 카츠타선 후쿠오카권 통근 노선으로써의 역할을 잘 수행했을 것이라고 느껴집니다. 카시선에 신차가 투입된 것도 그렇고, 2020년 이후로는 가고시마 본선 직통열차까지 편성된 것까지 보면 더더욱 그렇죠. 거기다가 카츠타선은 종점이 하카타와 훨씬 가까운 요시즈카역입니다. 요시즈카역은 쾌속과 보통열차뿐만 아니라 특급 키라메키, 소닉, 카이오 등등 우등열차 역시 정차한다는 걸 보면 더더욱 아쉽죠.
지금까지 후쿠오카 근교권에 있었던 두 노선, 카츠타선과 카시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상황도 비슷했고, 연선 지역마저도 비슷했던 두 노선이었지만 결과는 정반대였던 두 노선. 여러 생각이 들게 만드는 이야기인 거 같습니다. 저는 여기서 인사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해외교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ws] 니시큐슈 신칸센 개통, JR 큐슈의 대규모 다이어 개편 (0) | 2022.09.23 |
---|---|
[레일웨이 후쿠오카 Ep.06] 현대의 지하철은 이런 느낌? -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 (0) | 2022.07.11 |
[레일웨이 후쿠오카 Ep.04] 직통 네트워크의 성공작 - 후쿠호쿠유타카선 (0) | 2022.06.28 |
[레일웨이 후쿠오카 Ep.03] 존재감 단연코 꼴등 - 후쿠오카시 지하철 하코자키선 (0) | 2022.06.23 |
최속달 신칸센 노조미, 그 30년의 이야기 (0) | 2022.06.22 |